publications
- 지역경제 지속가능성
도시 중심성 재정의: 경제 복잡성 지수의 중심지 이론적 해석
- Creator
- 김종현 박사, 서동우 연구원, 유동현 교수님, 전보강 교수님, 최효지 박사
- Research Type
- 센터융합연구

- Creator
- Research Type
- 김종현 박사, 서동우 연구원, 유동현 교수님, 전보강 교수님, 최효지 박사
- 센터융합연구

본 연구는 전통적인 중앙지 이론(CPT)의 한계를 극복하고, 경제 복잡성 이론을 활용하여 현대 도시 구조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고자 했습니다. 서울의 소상공인 위치 데이터를 포함한 다양한 빅데이터를 결합하여 제품 복잡성 지수(PCI)와 경제 복잡성 지수(ECI)를 개발함으로써 도시의 중심성과 상품의 상호작용을 측정하는 새로운 방안을 제시했습니다. 분석 결과, 경제적으로 복잡한 상품일수록 더 넓은 시장 범위를 형성하며, 소비자들은 이러한 상품을 구매하기 위해 더 멀리 이동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ECI가 높은 지역은 주요 기업 본사, 금융 중심지 등 고부가가치 산업이 집중된 서울의 경제·행정적 중심지임을 확인했습니다. 이 연구는 도시 내 경제활동과 소비자 행동이 복잡한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음을 시사하며, 소상공인 경제활동이 단순히 입지에 국한되지 않고 판매 상품의 특성과 소비 패턴에 따라 결정된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증명했습니다.
Kim, J., Yu D., Choi, H., Seo, D., & Jun, B. (2024). Redefining Urban Centrality: Integrating Economic Complexity Indices into Central Place Theory. arXiv preprint arXiv: 2407.19762.
- 물류 및 교통시스템
Hub-and-Spoke 시스템 기반의 UAM 서비스 최적 네트워크 설계
- Creator
- 황태성 교수님
- Research Type
- 센터융합연구

- Creator
- Research Type
- 황태성 교수님
- 센터융합연구

본 연구에서는 도심항공모빌리티(UAM)의 효율적인 인프라 구축을 위한 bi-objective 기반의 수리 최적화 모델링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서울시 상권 데이터, 교통 및 항공 법규, 경제적 비용 등 다양한 변수를 고려하여 UAM 수직 이착륙장인 vertiport의 최적 위치와 hub-and-spoke 시스템에 기반한 네트워크 구축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파레토 최적 솔루션은 vertiport 설립 비용과 물류 접근성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그림과 같이 제공한다. 그림에서는 파레토 경계 1, 4, 8, 그리고 11번의 솔루션 결과가 도식화되어 있으며, vertiport 구성과 상권의 물류 접근성 간의 상관관계를 관찰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UAM 시스템이 도시 내 교통 혼잡 해소 및 이동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함으로써 소상공인의 지리적 위치 및 유동인구 분석에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기술혁신
기술 분야의 엔트로피와 이질성이 기술 발전에 미치는 영향
- Creator
- 허원창 교수님
- Research Type
- 개인연구

- Creator
- Research Type
- 허원창 교수님
- 개인연구

본 연구는 특허 기술 분야에서의 다양성이 기술적 영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특히, 특허 보유 기관의 다양성(assignee entropy)과 의미론적 이질성(semantic heterogeneity)이 특정 기술 분야가 다른 분야에 미치는 영향력(domain authority)에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탐구한다. 1976년부터 2021년까지 약 200만 건의 특허 데이터를 활용하여 8개 주요 기술 분야(Cooperative Patent Classification, CPC)의 특허 네트워크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정 기술 분야 내에서 생성된 의미론적 이질성(semantic heterogeneity)이 증가할수록 해당 기술이 다른 기술 분야에 미치는 영향력이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기술적 다양성이 새로운 혁신을 촉진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특허 보유 기관의 다양성(assignee entropy)이 높아질수록 해당 기술 분야의 영향력이 감소하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즉, 기술적 혁신이 다수의 소규모 기업에 의해 분산되기보다는, 소수의 연구개발(R&D) 중심 기관이 주도할 때 더 큰 영향력을 가지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전략적 특허 출원(strategic patenting)이나 특허 레이스(patent racing) 현상이 기술 발전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기술 혁신에서 다양성과 집중화의 역할을 규명하는 데 기여하며, 기술 정책 및 연구개발 전략 수립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특히, 다양성을 장려하면서도, 특정 분야의 핵심 연구기관이 지속적으로 혁신을 주도할 수 있도록 정책적 균형을 맞추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기술 분야별로 다양성이 미치는 영향을 보다 세분화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
- 지역경제 지속가능성
지역이탈의 악순환: 출생지의 경제 환경과 청년 취업자의 지역이탈의 관계 분석
- Creator
- 송현서, 전보강 교수님, 허원창 교수님
- Research Type
- 센터융합연구

- Creator
- Research Type
- 송현서, 전보강 교수님, 허원창 교수님
- 센터융합연구

본 연구는 비수도권 지역에서 심각하게 나타나는 청년층의 지역 이탈 문제를 출생지의 경제 환경과 연관 지어 분석했습니다. 분석 결과, 청년 이탈은 인구 감소와 고령화가 심하고 경제 규모와 재정이 취약한 지역일수록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의료시설을 제외한 상업, 교육, 문화 시설은 청년 이탈을 억제하는 데 효과적이지 않았으며 , 출신 지역에 관계없이 수도권 취업자와 지역 취업자 간에는 유의미한 임금 격차가 확인되었습니다. 이러한 사실은 우리나라 비수도권 지역이 지역 경제 악화와 청년 이탈의 악순환 고리에 빠져 있음을 시사합니다. 이러한 결과는 소상공인의 경영 기반 강화 정책이 병행되어 지역 경제 전반의 선순환의 필요성을 제시하며, 소상공인의 고용 기회 부족은 단순히 개별 기업의 역량 문제로 치부할 것이 아니라 지역 내 고용 환경 개선과 소상공인 경제활동 지원 등 구조적인 문제 해결에 초점을 맞추는 정책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허원창, 송현서, & 전보강. (2024). 지역이탈의 악순환: 출생지의 경제 환경과 청년 취업자의 지역이탈. 地域硏究, 40(1), 53-67.
- 정책
공공조달 참여와 기업의 시장가치
- Creator
- 허원창 교수님
- Research Type
- 센터융합연구

- Creator
- Research Type
- 허원창 교수님
- 센터융합연구

본 연구는 공공조달 참여가 상장기업의 시장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공공조달은 정부가 세금을 재원으로 민간 시장에서 필요한 자원을 조달하는 과정으로, 특히 중소기업 지원과 혁신 촉진을 위한 정책도구로 활용되어 왔다. 그러나 공공조달이 기업의 장기적인 경쟁력을 강화하는지, 혹은 보호된 시장을 형성하여 시장 효율성을 저해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는 여전히 진행 중이다. 본 연구는 코스피(KOSPI) 및 코스닥(KOSDAQ) 시장에 상장된 기업들을 대상으로 공공조달 참여가 시장가치(Tobin’s Q)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코스피 시장에서는 공공조달 참여 기업의 시장가치가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낙찰 여부와 관계없이 공공조달 참여 자체가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반면, 코스닥 시장에서는 공공조달 참여 자체가 시장가치에 미치는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지만, 공공조달에서 높은 낙찰 실적을 보인 기업일수록 시장가치가 더 높게 평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공공조달이 중소기업(KOSDAQ 상장기업)에는 성장 촉진 효과를 줄 수 있지만, 대형 기업(KOSPI 상장기업)에는 보호된 시장 의존이라는 부정적 신호로 해석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즉, 공공조달 참여가 기업 성장의 초기 단계에서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기업의 민간 시장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는 자본시장의 투자자 관점에서 공공조달의 효과를 분석한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공공조달이 기업의 성장 단계와 규모에 따라 상이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공공조달 참여가 기업의 장기적인 성과와 혁신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추가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 지역경제 지속가능성
촉매제로서의 항구: 인근 항구가 지역 산업 다각화 및 경제 회복력에 미치는 파급효과
- Creator
- 연정인, 전보강 교수님, 황소정
- Research Type
- 개인연구

- Creator
- Research Type
- 연정인, 전보강 교수님, 황소정
- 개인연구

본 연구는 항만이 단순한 물류 거점을 넘어 지역 경제의 혁신과 회복력을 촉진하는 촉매 역할을 한다는 점에 주목했습니다. 특히 인접한 항만 간의 지식 확산 효과가 지역 산업 다각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습니다. 2006년부터 2020년까지 한국의 항만별 수출 및 지역 생산 데이터를 활용해 연구를 진행한 결과, 지역 내 기존 산업의 존재뿐만 아니라 인접 항만으로부터의 지식 확산 또한 지역 산업 다각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와 함께, 2008년 금융위기와 같은 외부 충격 시기에는 지역 내 산업 다각화가 경제 회복력의 핵심 역할을 했고, 위기 이후에는 인접 항만의 지식 확산이 지역 경제의 빠른 회복을 도왔다는 점이 확인되었습니다. 이러한 사실은 항만이 지역 경제의 지속적인 성장과 경쟁력 강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시사하며, 항만과 연계된 정책 수립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Yeon, J. I., Hwang, S., & Jun, B. (2024). Ports as catalysts: spillover effects of neighbouring ports on regional industrial diversification and economic resilience. Regional Studies, 58(5), 981-998.
- 기술혁신
4차 산업혁명에서의 기술 리더십: 한국 기업의 제조 부문과 ICT 부문 간 비교
- Creator
- 전보강 교수님
- Research Type
- 센터융합연구

- Creator
- Research Type
- 전보강 교수님
- 센터융합연구

본 연구는 제4차 산업혁명(Industry 4.0, I4) 시대에서 한국 제조업과 정보통신기술(ICT) 산업의 기술적 우위를 비교하며, I4 기술의 확산에 따라 지배적 산업의 변화 가능성을 분석한다. 1990년부터 2021년까지 한국 기업의 특허 데이터를 활용하여, 제조업과 ICT 산업의 기술 네트워크 구조를 비교하고, 특허 수, 기술 다양성, 경로 의존성(path dependency), 그리고 기술적 연관성(relatedness)을 주요변수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제조업은 특허 수와 기술의 다양성 측면에서 여전히 한국의 지배적인 기술 리더십을 유지하고 있으며, ICT 산업이 I4 기술에 집중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두 산업 간의 격차는 여전히 크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제조업은 기술을 폭넓게 다변화하는 반면, ICT 산업은 특정 기술에 집중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ICT 산업은 제조업보다 더 강한 경로 의존성을 나타내며, 제조업은 특허 활동에서 집중적(intensive) 및 광범위(extensive)한 확장을 더욱 강하게 추구하는 경향이 있었다.
본 연구는 제조업이 여전히 I4 기술에서도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ICT 산업이 미래에 더 강력한 역할을 할 가능성은 있지만 현재로서는 지배적 산업의 변화가 즉각적으로 발생하지 않을 것임을 시사한다. 또한, ICT 산업이 보다 강한 성장세를 보이기 위해서는 혁신적인 기술 개발 및 자본 투자 확대가 필요하며, 한국의 금융 및 투자 시스템이 이러한 변화를 뒷받침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기술 품질, 온라인 플랫폼 시장 점유율, 그리고 ICT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분석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다.
- 지역경제 지속가능성
SARS-CoV-2 항체의 세계적 혈청 유병률 추정
- Creator
- 김성민, 이광민, 이재영, 조성일 교수님
- Research Type
- 개인연구

- Creator
- Research Type
- 김성민, 이광민, 이재영, 조성일 교수님
- 개인연구

본 연구는 코로나19에 대한 전 세계적 항체 보유율을 국가별로 추정하여 글로벌 면역 현황을 파악하고자 했습니다. 감염자 데이터와 백신 접종 현황, 그리고 99개국의 혈청 조사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활용하는 베이지안 모델을 개발하여, 감염과 백신 접종으로 인해 형성된 항체를 분리해 평가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했습니다. 2021년 7월 기준으로 세계 항체 보유율은 35.5%에서 56.8% 사이로 추정되었으며, 이는 국가별로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백신 접종률과 방역 효과가 지역 경제의 정상화와 소비자 신뢰 회복에 중요한 변수임을 시사하며, 지역별 면역 수준을 고려한 맞춤형 정책 설계의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Lee, K., Kim, S., Jo, S., & Lee, J. (2024). Estimation of world seroprevalence of SARS-CoV-2 antibodies.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51(15), 3039-3058.
- 기술혁신
기술 도입 및 일자리: 레스토랑의 셀프 서비스 키오스크가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
- Creator
- 윤춘근 교수님
- Research Type
- 개인연구

- Creator
- Research Type
- 윤춘근 교수님
- 개인연구

본 연구는 외식업에서의 무인 주문 키오스크 도입이 노동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최근 무인화 기술이 빠르게 확산되면서, 이러한 기술이 고용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8년부터 2021년까지 한국 외식업체의 설문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키오스크 도입 여부가 고용 규모, 근무 시간, 임금 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키오스크 도입은 전체적인 정규직 및 비정규직 직원 수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아르바이트 직원의 임금을 감소시키고, 무급 가족 종사자의 고용을 줄이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프랜차이즈 외식업체에서 이러한 영향이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독립 운영 음식점에서는 정규직 직원의 임금이 오르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이는 기술 도입이 단순한 고용 감소를 초래하는 것이 아니라, 숙련된 노동자에 대한 상대적 임금 상승을 유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기술 도입이 외식업 노동 시장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을 조명하며, 숙련 편향 기술 변화(SBTC, Skill-Biased Technological Change)와 효율 임금 이론(Efficiency Wage Theory)의 실증적 근거를 제공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장기적인 고용 변화와 기술 도입에 따른 노동
- 정책
똑똑: 방문형 공공 서비스가 지역사회의 복지를 개선할 수 있을까?
- Creator
- 윤춘근 교수님
- Research Type
- 개인연구

- Creator
- Research Type
- 윤춘근 교수님
- 개인연구

전 세계적으로 공공서비스의 접근성과 효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정책이 시행되고 있으며, 그중 방문형 공공서비스(doorstep public service)는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의료 및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효과적인 방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가정 방문 프로그램(home visiting program)이 지역 사회의 건강 결과(health outcomes)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COVID-19 팬데믹 전후의 효과 차이를 평가한다. 본 연구는 2017년부터 2020년까지의 한국 데이터를 활용하여 준실험적 연구 설계(quasi-experimental design)와 차이-차이 분석(Difference-in-Differences, DID) 방법론을 적용하여 가정 방문 프로그램을 운영한 지역과 운영하지 않은 지역을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해당 프로그램이 시행된 지역에서는 주민의 건강 상태가 개선되고, 병원 방문 횟수가 감소했으며, 의료비 지출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팬데믹 기간 동안 가정 방문 프로그램이 공공보건의 공백을 보완하는 데 기여했으며, COVID-19로 인한 부정적인 건강 영향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는 방문형 공공서비스가 공공의료 서비스 개선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로서, 향후 보건정책 및 사회복지 정책 수립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특히, 건강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방문 서비스의 확대 및 제도적 정착이 지역 사회 건강 증진과 의료비 절감에 기여할 수 있음을 강조하며, 향후 연구에서는 장기적인 효과 분석과 다양한 문화적·제도적 환경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추가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