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도시 중심성 재정의: 경제 복잡성 지수의 중심지 이론적 해석

본 연구는 전통적인 중앙지 이론(CPT)의 한계를 극복하고, 경제 복잡성 이론을 활용하여 현대 도시 구조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고자 했습니다. 서울의 소상공인 위치 데이터를 포함한 다양한 빅데이터를 결합하여 제품 복잡성 지수(PCI)와 경제 복잡성 지수(ECI)를 개발함으로써 도시의 중심성과 상품의 상호작용을 측정하는 새로운 방안을 제시했습니다. 분석 결과, 경제적으로 복잡한 상품일수록 더 넓은 시장 범위를 형성하며, 소비자들은 이러한 상품을 구매하기 위해 더 멀리 이동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ECI가 높은 지역은 주요 기업 본사, 금융 중심지 등 고부가가치 산업이 집중된 서울의 경제·행정적 중심지임을 확인했습니다. 이 연구는 도시 내 경제활동과 소비자 행동이 복잡한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음을 시사하며, 소상공인 경제활동이 단순히 입지에 국한되지 않고 판매 상품의 특성과 소비 패턴에 따라 결정된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증명했습니다. Kim, J., Yu D., Choi, H., Seo, D., & Jun, B. (2024). Redefining Urban Centrality: Integrating Economic Complexity Indices into Central Place Theory. arXiv preprint arXiv: 2407.19762.

지역이탈의 악순환:  출생지의 경제 환경과 청년 취업자의 지역이탈의 관계 분석

본 연구는 비수도권 지역에서 심각하게 나타나는 청년층의 지역 이탈 문제를 출생지의 경제 환경과 연관 지어 분석했습니다. 분석 결과, 청년 이탈은 인구 감소와 고령화가 심하고 경제 규모와 재정이 취약한 지역일수록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의료시설을 제외한 상업, 교육, 문화 시설은 청년 이탈을 억제하는 데 효과적이지 않았으며 , 출신 지역에 관계없이 수도권 취업자와 지역 취업자 간에는 유의미한 임금 격차가 확인되었습니다. 이러한 사실은 우리나라 비수도권 지역이 지역 경제 악화와 청년 이탈의 악순환 고리에 빠져 있음을 시사합니다. 이러한 결과는 소상공인의 경영 기반 강화 정책이 병행되어 지역 경제 전반의 선순환의 필요성을 제시하며, 소상공인의 고용 기회 부족은 단순히 개별 기업의 역량 문제로 치부할 것이 아니라 지역 내 고용 환경 개선과 소상공인 경제활동 지원 등 구조적인 문제 해결에 초점을 맞추는 정책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허원창, 송현서, & 전보강. (2024). 지역이탈의 악순환: 출생지의 경제 환경과 청년 취업자의 지역이탈. 地域硏究, 40(1), 53-67.

촉매제로서의 항구: 인근 항구가 지역 산업 다각화 및 경제 회복력에 미치는 파급효과

본 연구는 항만이 단순한 물류 거점을 넘어 지역 경제의 혁신과 회복력을 촉진하는 촉매 역할을 한다는 점에 주목했습니다. 특히 인접한 항만 간의 지식 확산 효과가 지역 산업 다각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습니다. 2006년부터 2020년까지 한국의 항만별 수출 및 지역 생산 데이터를 활용해 연구를 진행한 결과, 지역 내 기존 산업의 존재뿐만 아니라 인접 항만으로부터의 지식 확산 또한 지역 산업 다각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와 함께, 2008년 금융위기와 같은 외부 충격 시기에는 지역 내 산업 다각화가 경제 회복력의 핵심 역할을 했고, 위기 이후에는 인접 항만의 지식 확산이 지역 경제의 빠른 회복을 도왔다는 점이 확인되었습니다. 이러한 사실은 항만이 지역 경제의 지속적인 성장과 경쟁력 강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시사하며, 항만과 연계된 정책 수립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Yeon, J. I., Hwang, S., & Jun, B. (2024). Ports as catalysts: spillover effects of neighbouring ports on regional industrial diversification and economic resilience. Regional Studies, 58(5), 981-998.

SARS-CoV-2 항체의 세계적 혈청 유병률 추정

본 연구는 코로나19에 대한 전 세계적 항체 보유율을 국가별로 추정하여 글로벌 면역 현황을 파악하고자 했습니다. 감염자 데이터와 백신 접종 현황, 그리고 99개국의 혈청 조사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활용하는 베이지안 모델을 개발하여, 감염과 백신 접종으로 인해 형성된 항체를 분리해 평가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했습니다. 2021년 7월 기준으로 세계 항체 보유율은 35.5%에서 56.8% 사이로 추정되었으며, 이는 국가별로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백신 접종률과 방역 효과가 지역 경제의 정상화와 소비자 신뢰 회복에 중요한 변수임을 시사하며, 지역별 면역 수준을 고려한 맞춤형 정책 설계의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Lee, K., Kim, S., Jo, S., & Lee, J. (2024). Estimation of world seroprevalence of SARS-CoV-2 antibodies.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51(15), 3039-3058.

사용자의 선호도와 공간 패턴을 고려한 15분 도시 내 도서관의 세분화된 사용자 수요 예측

본 연구는 '15분 도시'라는 개념 아래 공공도서관의 이용 행태를 분석하고, 이용자 선호도와 공간적 패턴을 고려한 수요 예측 모델을 제시했습니다. 분석 결과, 도서관 내 도서 수, 독서실 및 멀티미디어실 좌석 수, 성인 대상 문화 프로그램 등 서비스 수준과 물리적 거리가 이용 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확인되었습니다. 또한, 기존 이용자들은 더 나은 서비스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지만, 비이용자들은 여전히 도서관 이용을 꺼리는 경향이 강했습니다.이러한 사실은 공공시설인 도서관의 서비스 개선이 단순히 시설 확충을 넘어 지역 주민의 문화 수준 향상과 소비 활동 증가로 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따라서 지역의 특성과 이용자 수요를 반영한 맞춤형 도서관 정책은 지역 사회의 경제 활력을 높이는 중요한 인프라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Ko, S., Choi, I. J., Kim, D. G., & Shin, J. (2024). Segmented user demand forecasting for libraries in the 15-minute city considering users' preferences and spatial patterns. Cities, 151, 105159.

식품배달산업에서의 두 이해관계자들간의 증거기반 평형분석

본 연구는 급성장하는 배달 서비스 시장에서 고객과 외식업주 모두에게 합리적이고 지속 가능한 배달 수수료를 찾고자 했습니다. 선택 실험과 혼합 로짓 모델을 활용하여 양측 이해관계자의 선호도와 가격 민감도를 분석한 결과, 적정 배달 수수료는 총 주문 금액의 약 7~10% 수준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범위를 벗어나면 서비스 이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적정한 수수료 설정이 외식업주의 비용 부담을 줄여 경영 안정성과 시장 경쟁력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결국, 공정한 비용 분담과 투명한 가격 정책이 배달 시장 전반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핵심 요소임을 시사합니다. Jo, H., & Shin, J. (2024). Evidence-based equilibrium analysis of two-sided market in food delivery industry. Journal of Retailing and Consumer Services, 77, 103646.

이머징 마켓에서 사회적 신호의 현대 미술 가격 예측 효용성

본 연구는 현대 미술품 가격을 결정하는 요인이 작품의 시각적 특징보다는 사회적 신호에 더 크게 의존한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규명했습니다. 다양한 국가의 경매 기록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사회적 신호가 가격 변동의 73%를 설명하는 반면 시각적 특징은 5.5%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특히 신흥 시장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는데, 이는 작품의 품질을 평가하기 어려운 시장일수록 작가 자체의 인지도와 사회적 네트워크가 더 중요하게 작용함을 시사합니다. 결국 예술품의 가치는 작품 자체의 미학적 요소보다는 작가와 시장의 사회적 관계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 확인되었습니다. 이러한 발견은 미술 시장과 유사한 문화·예술 분야 사업에서 브랜드 가치와 사회적 평판이 성공의 핵심 요소임을 보여주며, 관련 분야 소상공인 지원 정책 수립 시 제품 품질뿐 아니라 사회적 네트워크와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는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합니다. Lee, K., Park, J., Goree, S., Crandall, D., & Ahn, Y. Y. (2024). Social signals predict contemporary art prices better than visual features, particularly in emerging markets. Scientific reports, 14(1), 11615.

노동 공간: 대규모 언어 모델을 활용한 노동 시장의 통합적 표현

본 연구는 대규모 언어 모델인 BERT를 활용해 노동시장 내 다양한 요소들(산업, 직업, 기술, 기업 등)을 통합적으로 분석하는 'Labor Space'라는 새로운 벡터 공간을 제안했습니다. 기존 연구들이 개별 요소나 이중 관계에 국한되었던 반면, 이 모델은 노동시장의 복합적인 관계를 한 공간에서 파착하고 시각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가집니다. 이를 통해 벡터 연산을 활용해 경제적 충격이나 신기술 도입이 노동시장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예측하는 것이 가능함을 입증했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소상공인에게 필요한 기술과 직업에 대한 전략적인 인력 배분 및 역량 개발을 지원하는 데 활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AI와 같은 신기술이 노동시장에 침투하는 정도를 평가하여 소상공인들이 변화에 대비하도록 돕는 맞춤형 인력 정책 수립에 중요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합니다. Kim, S., Ahn, Y. Y., & Park, J. (2024, May). Labor space: A unifying representation of the labor market via large language models. In Proceedings of the ACM Web Conference 2024 (pp. 2441-2451).

폭염 기간 중 고복잡도 도시 지역의 인구 집중 현상

본 연구는 2018년 서울의 폭염 기간 동안 도시 내 인구 이동 변화를 분석하며, 경제적 복잡성이 지역의 회복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했습니다. 연구 결과, 기온이 높아질수록 전체 유동인구는 감소하지만, 산업과 서비스가 다양하게 집중된 경제적 복잡성이 높은 지역은 악조건 속에서도 인구 유입을 유지하며 도시의 활력을 지속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러한 사실은 경제적 복잡성이 기후 변화로 인한 도시의 취약성을 극복하고 회복력을 높이는 핵심 요소임을 시사합니다. 나아가, 소상공인 활동 측면에서 볼 때, 복잡성이 높은 상권은 소비자 유입과 경제 활동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이러한 상권의 다양한 업종 간 협력과 혁신을 강화하는 정책이 필요함을 강조합니다. Choi, H., Kim, J., Yu, D., & Jun, B. (2025). Population concentration in high-complexity regions within city during the heat wave. Cambridge Journal of Regions, Economy and Society, 18(1), 41-56.

가까운 곳에서의 소비: 서울의 도시 소비자 행동 및 소비 공간 분석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서울 시민들의 소비 패턴 변화를 분석하고, 거주지 인근 소비와 지역 경제의 회복력 간의 관계를 심층적으로 살펴보았습니다. 신용카드 거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소비자들이 주로 거주지에서 2km 이내의 가까운 상권을 선호하며, 다양한 업종이 서로 보완적인 역할을 할 때 소비가 더욱 활발해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팬데믹 초기에는 이 같은 근거리 소비 경향이 약화되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다시 회복되는 모습을 보이며 지역 소비의 회복 탄력성을 입증했습니다. 이 결과는 소비자들의 생활권에 밀착된 상권의 활성화와 업종 간 상호 연계를 강화하는 것이 지역 경제의 적응력을 높이는 데 필수적임을 보여줍니다. Choi, H., Neffke, F., Yu, D., & Jun, B. (2024). Close to Home: Analyzing Urban Consumer Behavior and Consumption Space in Seoul. arXiv preprint arXiv:2407.205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