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도시구조 & 모빌리티 지역 & 상권

도시 중심성 재정의: 경제 복잡성 지수의 중심지 이론적 해석

김종현, 유동현, 최효지, 서동우, 전보강

본 연구는 중심지 이론(CPT)의 한계를 극복하고, 복잡계 경제학 이론을 활용하여 현대 도시 구조를 정량적으로 분석했습니다. 연구는 서울의 소상공인 데이터를 활용하여 복잡성 지수를 계산하고, 이를 토대로 도시내 상권별 그리고 소상공인 업종별 중심성을 파악했습니다. 더불어, 연구는 중심성에 따라 상권의 경제 지리적 특성이 어떻게 변화하며, 중심성과 소비자의 행태는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살펴보았습니다. 분석 결과, 경제적으로 복잡한 상품일수록 더 넓은 시장 범위를 형성하며, 소비자들은 이러한 상품을 구매하기 위해 더 멀리 이동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ECI가 높은 지역은 주요 기업 본사, 금융 중심지 등 고부가가치 산업이 집중된 서울의 경제·행정적 중심지임을 확인했습니다. 이 연구는 도시 내 경제활동과 소비자 행동이 복잡한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음을 시사하며, 소상공인 경제활동이 단순히 입지에 국한되지 않고 판매 상품의 특성과 소비 패턴에 따라 결정된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증명했습니다.

Kim, J., Yu D., Choi, H., Seo, D., & Jun, B. (2024). Redefining Urban Centrality: Integrating Economic Complexity Indices into Central Place Theory. arXiv preprint arXiv: 2407.19762.

소상공인경제 지역 & 상권

지역이탈의 악순환:  출생지의 경제 환경과 청년 취업자의 지역이탈의 관계 분석

허원창, 송현서, 전보강

본 연구는 비수도권 지역에서 심각하게 나타나는 청년층의 지역 이탈 문제를 출생지의 경제 환경과 연관 지어 분석했습니다. 분석 결과, 청년 이탈은 인구 감소와 고령화가 심하고 경제 규모와 재정이 취약한 지역일수록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의료시설을 제외한 상업, 교육, 문화 시설은 청년 이탈을 억제하는 데 효과적이지 않았으며 , 출신 지역에 관계없이 수도권 취업자와 지역 취업자 간에는 유의미한 임금 격차가 확인되었습니다. 이러한 사실은 우리나라 비수도권 지역이 지역 경제 악화와 청년 이탈의 악순환 고리에 빠져 있음을 시사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지역 경제 전반의 선순환을 촉진하는 정책의 필요성을 제시합니다. 이러한 연구성과는 청년 취업자의 지역이탈로 인한 소상공인의 고용 기회 부족은 단순히 개별 기업의 역량 문제로 치부할 것이 아니며, 지역 내 고용 환경 개선과 소상공인 경제활동 지원 등 구조적인 문제 해결에 초점을 맞추는 정책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허원창, 송현서, & 전보강. (2024). 지역이탈의 악순환: 출생지의 경제 환경과 청년 취업자의 지역이탈. 지역연구, 40(1), 53-67.

지역 & 상권

촉매제로서의 항구: 인근 항구가 지역 산업 다각화 및 경제 회복력에 미치는 파급효과

연정인, 황소정, 전보강

본 연구는 항만이 단순한 물류 거점을 넘어 지역 경제의 혁신과 회복력을 촉진하는 촉매 역할을 한다는 점에 주목했습니다. 특히 인접한 항만 간의 지식 확산 효과가 지역 산업 다각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습니다. 2006년부터 2020년까지 한국의 항만별 수출 및 지역 생산 데이터를 활용해 연구를 진행한 결과, 지역 내 기존 산업의 존재뿐만 아니라 인접 항만으로부터의 지식 확산 또한 지역 산업 다각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와 함께, 2008년 금융위기와 같은 외부 충격 시기에는 지역 내 산업 다각화가 경제 회복력의 핵심 역할을 했고, 위기 이후에는 인접 항만의 지식 확산이 지역 경제의 빠른 회복을 도왔다는 점이 확인되었습니다. 이러한 사실은 항만이 지역 경제의 지속적인 성장과 경쟁력 강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시사하며, 이는 소상공인 경제활동 측면에서도 항만을 통한 글로벌 시장 연결과 산업 다각화가 지역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에게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와 산업 연계 가능성을 확대하는 기반이 됨을 보여줍니다. 따라서 항만 인프라 확충은 지역 경제 활성화 전략과 연계하여 지역 소상공인 및 중소기업의 특징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나아가 지역 산업적 특성과 항만의 지식 확산 메커니즘을 반영한 맞춤형 지원 정책 설계가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Yeon, J. I., Hwang, S., & Jun, B. (2024). Ports as catalysts: spillover effects of neighbouring ports on regional industrial diversification and economic resilience. Regional Studies, 58(5), 981-998.

지역 & 상권

똑똑: 방문형 공공 서비스가 지역사회의 복지를 개선할 수 있을까?

윤춘근

전 세계적으로 공공서비스의 접근성과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정책이 시행되고 있으며, 그중 방문형 공공서비스(doorstep public service)는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의료 및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효과적인 방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의 가정 방문 프로그램(home visiting program)을 사례로, 이 제도가 지역 주민의 건강 결과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COVID-19 팬데믹 전후로 비교 분석한다. 2017년부터 2020년까지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준실험적 연구 설계(quasi-experimental design)와 차이-차이 분석(DID)을 적용한 결과, 프로그램이 시행된 지역에서는 주민의 건강 상태가 개선되고 병원 방문 횟수와 의료비 지출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팬데믹 시기에는 공공보건의 공백을 보완하며 COVID-19의 부정적 건강 영향을 완화하는 효과가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보건·복지 영역에서, 외부 충격에 취약한 집단이 제도적 지원을 통해 회복력을 확보하는 과정을 실증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라는 점에서, 소상공인과 중소기업 연구와도 중요한 연결고리를 갖는다. 자원과 역량이 부족한 주체가 시장·기술·환경 변화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다는 점은 건강 취약계층과 소상공인·중소기업이 공유하는 특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공서비스의 정책적 개입이 사회적 약자의 적응력과 회복력을 높이는 메커니즘을 보여줌으로써, 향후 소상공인·중소기업 생태계 연구와 정책 설계에도 시사점을 제공한다.

Lee, J., Min, N., & Yoon, C. (2023). Knock knock: can doorstep public service improve community outcomes? Journal of Asian Public Policy. https://doi.org/10.1080/17516234.2023.2233731

데이터 사이언스 도시구조 & 모빌리티 지역 & 상권

상권 변화 탐지를 위한 시계열 이상 감지 기법 분석 (FLSA)

유동현, Johan Lim, Won Son

소상공인의 매출, 방문자 수, 상권 내 업종 변화 등은 시계열적으로 급격한 전환점을 겪는 경우가 많으며, 이를 조기에 탐지하는 것은 정책 대응과 경영 전략 수립에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변화 탐지를 위한 기초 방법론으로서 Fused Lasso Signal Approximator(FLSA) 기법의 수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FLSA는 계단형 구조를 가진 데이터에서 변화점 탐지 성능이 떨어질 수 있으나, 본 연구는 잡음이 낮고 파라미터 선택이 적절할 경우, 잘못 탐지된 변화점조차도 실제 변화구간 내부에 위치함을 증명하였다. 또한 이 변화점들이 확률모형인 이산 브라운 브리지의 구조와 밀접하게 관련됨을 보였으며, 잘못된 변화점의 개수에 대한 분포를 유도하였다. 본 연구는 소상공인 관련 데이터를 활용한 상권 변화 조기 경보 시스템이나 정책 타이밍 분석 등에 활용 가능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한다.

Yu, D., Lim, J. & Son, W. Asymptotic of the number of false change points of the fused lasso signal approximator. J. Korean Stat. Soc. 53, 381–397 (2024). https://doi.org/10.1007/s42952-023-00250-3

데이터 사이언스 지역 & 상권

불완전한 상권 데이터를 활용한 변수 간 관계 분석 방법

조승훈, 유동현, 임요한

소상공인의 생존 기간, 계약 종료 시점, 누적 매출 등의 데이터는 종종 일부 값이 관측되지 않는 검열 데이터(censored data) 형태로 수집된다. 이 연구는 이러한 검열된 이변량 데이터에서 두 변수 간의 상관관계 또는 독립성 여부를 정밀하게 평가할 수 있는 새로운 통계적 절차를 제안한다. 기존 방법들이 특정한 검열 구조에만 적용 가능했던 반면, 본 연구는 다양한 검열 유형에 범용적으로 적용 가능한 절차를 제공한다. 핵심은 Kendall’s tau 통계량을 활용하되, 검열로 인해 제한된 순열 공간 내에서 가능한 순위 조합들의 평균 통계량을 계산하고, 이를 MCMC 기법을 통해 근사 분포로부터 평가하는 것이다. 제안된 방법은 실제 데이터 사례에도 적용되어 기존 방법보다 더 높은 검정력과 유연성을 보였으며, 이는 소상공인의 다양한 비정형 데이터 분석에도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Cho, S., Yu, D., & Lim, J. (2023). Testing independence of bivariate censored data using random walk on restricted permutation graph. Journal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52(2), 395–419.

데이터 사이언스 도시구조 & 모빌리티 지역 & 상권

상권 이미지 분석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시각 정보 분류 모델 비교

조보현, 전보강, 이지호, 홍석환, 유동현

소상공인의 위치 기반 서비스나 상권 분석, 매장 외부 이미지 자동 해석 등에 있어, 의미 기반 이미지 분할(Semantic Segmentation) 기술은 상권의 시각적 특징을 정량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이미지 내 도로, 건물, 차량 등의 객체를 픽셀 단위로 분류할 수 있는 네 가지 최신 딥러닝 모델을 비교하였다. Cityscapes 데이터셋으로 학습된 모델을 네이버 거리뷰 이미지에 적용한 결과, InternImage와 ConvNeXt 모델이 거리 환경 인식과 객체 구분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이는 거리 기반 매장 입지 평가, 시각적 상권 특성 분석, 소상공인 주변 환경 모니터링 등에 활용 가능하다.

Cho, B., Jun, B., Lee, J., Hong, S. H., & Yu, D. (2024). Comparative study of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s for semantic image segmentation.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5(6), 769–789.

지역 & 상권

사용자의 선호도와 공간 패턴을 고려한 15분 도시 내 도서관의 세분화된 사용자 수요 예측

고성민, 최이중, 김동근, 신정우

'15분 도시'라는 개념 아래 공공도서관의 이용 행태를 분석하고, 이용자 선호도와 공간적 패턴을 고려한 수요 예측 모델을 제시했습니다. 분석 결과, 도서관 내 도서 수, 독서실 및 멀티미디어실 좌석 수, 성인 대상 문화 프로그램 등 서비스 수준과 물리적 거리가 이용 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확인되었습니다. 또한, 기존 이용자들은 더 나은 서비스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지만, 비이용자들은 여전히 도서관 이용을 꺼리는 경향이 강했습니다. 이러한 사실은 공공시설인 도서관의 서비스 개선이 단순히 시설 확충을 넘어 지역 주민의 문화 수준 향상과 소비 활동 증가로 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따라서 지역의 특성과 이용자 수요를 반영한 맞춤형 도서관 정책은 지역 소상공인의 경제 활력을 높이는 중요한 인프라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Ko, S., Choi, I. J., Kim, D. G., & Shin, J. (2024). Segmented user demand forecasting for libraries in the 15-minute city considering users' preferences and spatial patterns. Cities, 151, 105159.

소상공인경제 지역 & 상권

식품배달산업에서의 두 이해관계자들간의 증거기반 평형분석

조한슬, 신정우

본 연구는 급성장하는 배달 서비스 시장에서 고객과 외식업주 모두에게 합리적이고 지속 가능한 배달 수수료를 찾고자 했습니다. 선택 실험과 혼합 로짓 모델을 활용하여 양측 이해관계자의 선호도와 가격 민감도를 분석한 결과, 적정 배달 수수료는 총 주문 금액의 약 7~10% 수준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범위를 벗어나면 서비스 이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적정한 수수료 설정이 외식업주의 비용 부담을 줄여 경영 안정성과 시장 경쟁력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결국, 공정한 비용 분담과 투명한 가격 정책이 배달 시장 전반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핵심 요소임을 시사합니다.

Jo, H., & Shin, J. (2024). Evidence-based equilibrium analysis of two-sided market in food delivery industry. Journal of Retailing and Consumer Services, 77, 103646.

지역 & 상권

이머징 마켓에서 사회적 신호의 현대 미술 가격 예측 효용성

이강산, 박재혁, Sam Goree, David Crandall

본 연구는 현대 미술품 가격을 결정하는 요인이 작품의 시각적 특징보다는 사회적 신호에 더 크게 의존한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규명했습니다. 다양한 국가의 경매 기록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사회적 신호가 가격 변동의 73%를 설명하는 반면 시각적 특징은 5.5%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특히 신흥 시장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는데, 이는 작품의 품질을 평가하기 어려운 시장일수록 작가 자체의 인지도와 사회적 네트워크가 더 중요하게 작용함을 시사합니다. 결국 예술품의 가치는 작품 자체의 미학적 요소보다는 작가와 시장의 사회적 관계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 확인되었습니다. 이러한 발견은 미술 시장과 유사한 문화·예술 분야 사업에서 브랜드 가치와 사회적 평판이 성공의 핵심 요소임을 보여주며, 관련 분야 소상공인 지원 정책 수립 시 제품 품질뿐 아니라 사회적 네트워크와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는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합니다.

Lee, K., Park, J., Goree, S., Crandall, D., & Ahn, Y. Y. (2024). Social signals predict contemporary art prices better than visual features, particularly in emerging markets. Scientific reports, 14(1), 11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