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도시구조 & 모빌리티 지역 & 상권
도시 중심성 재정의: 경제 복잡성 지수의 중심지 이론적 해석
- Author
김종현, 유동현, 최효지, 서동우, 전보강
- Keywords
- 경제지리, 상권분석, 소비분석, 소상공인, 지역경제

- Creator
- Research Type
- 김종현, 서동우, 유동현, 전보강, 최효지
- 경제지리, 상권분석, 소비분석, 소상공인, 지역경제

본 연구는 중심지 이론(CPT)의 한계를 극복하고, 복잡계 경제학 이론을 활용하여 현대 도시 구조를 정량적으로 분석했습니다. 연구는 서울의 소상공인 데이터를 활용하여 복잡성 지수를 계산하고, 이를 토대로 도시내 상권별 그리고 소상공인 업종별 중심성을 파악했습니다. 더불어, 연구는 중심성에 따라 상권의 경제 지리적 특성이 어떻게 변화하며, 중심성과 소비자의 행태는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살펴보았습니다. 분석 결과, 경제적으로 복잡한 상품일수록 더 넓은 시장 범위를 형성하며, 소비자들은 이러한 상품을 구매하기 위해 더 멀리 이동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ECI가 높은 지역은 주요 기업 본사, 금융 중심지 등 고부가가치 산업이 집중된 서울의 경제·행정적 중심지임을 확인했습니다. 이 연구는 도시 내 경제활동과 소비자 행동이 복잡한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음을 시사하며, 소상공인 경제활동이 단순히 입지에 국한되지 않고 판매 상품의 특성과 소비 패턴에 따라 결정된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증명했습니다.
Kim, J., Yu D., Choi, H., Seo, D., & Jun, B. (2024). Redefining Urban Centrality: Integrating Economic Complexity Indices into Central Place Theory. arXiv preprint arXiv: 2407.19762.
도시구조 & 모빌리티
Hub-and-Spoke 시스템 기반의 UAM 서비스 최적 네트워크 설계
- Author
정호영, 송병덕, 이학태, 전보강, 황태성
- Keywords
- 도심항공모빌리티(UAM), 상권접근성, 인프라설계

- Creator
- Research Type
- 송병덕, 이학태, 전보강, 정호영, 황태성
- 도심항공모빌리티(UAM), 상권접근성, 인프라설계

도시 교통체계는 상권의 형성과 소상공인의 고객 접근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기반이다. 본 연구는 차세대 도시 교통수단인 도심항공모빌리티(UAM)를 대상으로, 서울시 내 수직 이착륙장(vertiport)의 최적 입지와 네트워크 구축 방안을 수리 최적화 모델링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에서는 상권 데이터, 교통 및 항공 규제, 경제적 비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bi-objective 최적화 모형을 구축하고, vertiport 설립 비용과 물류 접근성 간의 상호작용을 파레토 최적 솔루션으로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UAM 인프라 설계가 도시 내 이동성과 지역별 접근성에 미칠 잠재적 영향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기초적 근거를 제공한다. 특히 이러한 분석은 향후 UAM 인프라가 지역 상권의 고객 흐름과 물류 효율성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지를 살펴보는 토대가 된다. 교통 혼잡 완화와 이동성 향상은 자원과 역량이 부족한 소상공인·중소기업의 시장 접근성 제약을 줄이고, 새로운 성장 기회를 창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정호영, 송병덕, 이학태, 전보강, 황태성. (2024). Hub-and-Spoke 시스템 기반의 UAM 서비스 최적 네트워크 설계. 로지스틱스 연구, 32(1), 19–29.
데이터 사이언스 도시구조 & 모빌리티 지역 & 상권
상권 변화 탐지를 위한 시계열 이상 감지 기법 분석 (FLSA)
- Author
유동현, Johan Lim, Won Son
- Keywords
- 방법론 연구, 시계열 데이터 분석, 이상치 탐지

- Creator
- Research Type
- 손원, 유동현, 임요한
- 방법론 연구, 시계열 데이터 분석, 이상치 탐지

소상공인의 매출, 방문자 수, 상권 내 업종 변화 등은 시계열적으로 급격한 전환점을 겪는 경우가 많으며, 이를 조기에 탐지하는 것은 정책 대응과 경영 전략 수립에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변화 탐지를 위한 기초 방법론으로서 Fused Lasso Signal Approximator(FLSA) 기법의 수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FLSA는 계단형 구조를 가진 데이터에서 변화점 탐지 성능이 떨어질 수 있으나, 본 연구는 잡음이 낮고 파라미터 선택이 적절할 경우, 잘못 탐지된 변화점조차도 실제 변화구간 내부에 위치함을 증명하였다. 또한 이 변화점들이 확률모형인 이산 브라운 브리지의 구조와 밀접하게 관련됨을 보였으며, 잘못된 변화점의 개수에 대한 분포를 유도하였다. 본 연구는 소상공인 관련 데이터를 활용한 상권 변화 조기 경보 시스템이나 정책 타이밍 분석 등에 활용 가능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한다.
Yu, D., Lim, J. & Son, W. Asymptotic of the number of false change points of the fused lasso signal approximator. J. Korean Stat. Soc. 53, 381–397 (2024). https://doi.org/10.1007/s42952-023-00250-3
데이터 사이언스 도시구조 & 모빌리티 지역 & 상권
상권 이미지 분석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시각 정보 분류 모델 비교
- Author
조보현, 전보강, 이지호, 홍석환, 유동현
- Keywords
- 방법론 연구, 상권 거리뷰 데이터, 이미지 분석

- Creator
- Research Type
- 유동현, 이지호, 전보강, 조보현, 홍석환
- 방법론 연구, 상권 거리뷰 데이터, 이미지 분석

소상공인의 위치 기반 서비스나 상권 분석, 매장 외부 이미지 자동 해석 등에 있어, 의미 기반 이미지 분할(Semantic Segmentation) 기술은 상권의 시각적 특징을 정량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이미지 내 도로, 건물, 차량 등의 객체를 픽셀 단위로 분류할 수 있는 네 가지 최신 딥러닝 모델을 비교하였다. Cityscapes 데이터셋으로 학습된 모델을 네이버 거리뷰 이미지에 적용한 결과, InternImage와 ConvNeXt 모델이 거리 환경 인식과 객체 구분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이는 거리 기반 매장 입지 평가, 시각적 상권 특성 분석, 소상공인 주변 환경 모니터링 등에 활용 가능하다.
Cho, B., Jun, B., Lee, J., Hong, S. H., & Yu, D. (2024). Comparative study of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s for semantic image segmentation.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5(6), 769–789.
도시구조 & 모빌리티
비선형 시계열 데이터를 활용한 도시 이동성 및 지식 추출: 코로나19 영향 규명을 위한 비교 분석
- Author
유건화
- Keywords
- 도시이동성, 코로나19

- Creator
- Research Type
- 유건화
- 도시이동성, 코로나19

소상공인과 지역 상권은 도시 인구의 이동성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대규모 감염병 확산은 이들의 활동을 직접적으로 위축시키는 요인이 된다. 본 연구는 전례 없는 감염병 상황에서 도시 인구 이동 패턴을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론(WTSM)을 제안한다. WTSM은 공간 시계열 데이터의 다차원적 특성을 효과적으로 처리하면서, 기존 Dynamic Time Warping(DTW)의 높은 계산 복잡도와 Symbolic Aggregate approXimation(SAX)의 정보 손실 문제를 보완한다. 이를 통해 코로나19 기간 동안 뉴욕시 택시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동성 변화를 군집화(clustering)하였다. 분석 결과, 코로나 초기에는 전 지역에서 이동량이 급격히 감소했으며, 백신 접종 확대 이후 점차 회복이 이루어졌으나 지역별로 회복 탄성에 차이가 존재했다. 특히 Bronx, Brooklyn, Downtown Manhattan 지역은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빠른 회복세를 보였다. 동시에, 이동 회복에는 일정한 지연 효과가 나타났으며, 이는 백신 도입이 즉각적인 회복으로 이어지지 않고 사회적 거리두기, 마스크 착용, 접종 증대 등 사회적 노력과 맞물려야 효과가 나타남을 시사한다.